티스토리 뷰
목차
이번 주부터 매경에서 알려주는 "This Week 경제용어"를 쉽게 재구성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쉽게 이해하기 쉽게 사례를 들어가면 설명해 보겠습니다.
녹인(Knock-in)
주가연계증권(ELS) 등 구조화 상품에서 기초자산 가격이 기준점(베리어) 미만으로 하락해 손실 구간에 들어선 상태를 뜻한다. |
평가 기간 기초자산 가격이 기준점 미만으로 하락한 뒤 만기까지 상환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투자자는 지수 하락률만큼 원금을 잃게 된다.
예를 들어, 기준점이 60%로 설정된 ELS에 투자할 경우, 기초자산 가격이 한 번이라도 60% 미만으로 내려가고 만기까지 회복되지 않으면 원금을 일부 잃는다. 반면 녹인 발생하지 않고 조건을 충족하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기준점이 높을수록 기대 수익이 크다. 고위험/고수익을 선호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구조다.
복수의 기초자산이 있을 경우, 그중 가장 수익률이 저조한 자산 하나만 기준점을 밑돌아도 전체 상품에 손실이 반영된다.
상품 설계와 투자판단에 있어 주의가 필요한 이유다.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투자자 보호관점에서 녹인 조건이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 투자자 입장에서 주의할 점
- Knock-in 옵션이 있으면 원금 손실 가능성이 커짐
- 표면적으로 수익률이 높아 보여도, Knock-in 조건이 발동되면 손실 구조로 전환됨
- 따라서 ELS 상품 등에 투자할 때는 반드시 녹인 여부와 배리어 수준을 확인해야 함
하이퍼튜브(Hyper Tube)
한국에서 개발 중인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미국의 일론 머스크가 제안한 하이퍼루프(Hyperloop) 기술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입니다. |

이론적으로 진공에 가까운 터널 안을 시속 1,200km로 달릴 수 있는 열차다. 자기부상이 하이퍼튜브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열차를 뛰우면 공기 저항과 마찰을 줄여 속도가 빨라지고 에너지는 절약되기 때문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2013년 '하이퍼루프'라고 이름을 붙인 교통수단을 제안하면서 대중적으로 알려졌다.
사실 한국은 머스크가 하이퍼루퍼를 제안하기 전부터 연구에 착수했다.
2009년부터 독자적인 연구를 시작했고, 현재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하이퍼튜브 시험선 건설을 추진 중이며, 실제로 시속 1,019km 이상을 기록한 주행시험 결과(세계 최초 기록)도 속속 나오고 있다.
만약 상용화에 성공한다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이동시간이 30분으로 단축될 전망이다.
최고 시속 300km대에 달하는 KTX로 서울 -부산 이동 시간이 2시간 반 이상 걸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혁신적인 변화다.
✅ 하이퍼튜브 vs 기존 철도/항공
항 목 | KTX | 항공기 | 하이퍼튜브 |
최고 속도 | 약 300km/h | 약 900km/h | 약 1,200km/h |
이동 시간 (서울-부산) | 약 2시간 30분 | 약 1시간 (비행) | 약 30분 |
에너지 효율 | 중간 | 낮음 | 매우 높음 |
온실가스 배출량 | 중간 | 높음 | 매우 낮음 |
DIP(Debtor-in0Possession) 금융
회생 절차 중인 기업이 법원의 보호 아래서 계속 사업을 운영하면서 받는 자금 지원 형태입니다. |
기업회생을 신청한 뒤에도 영업활동을 유지하며 외부로부터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별한 형태다. 일반적을 채무불이행 상태인 기업은 금융기관을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어렵다.
하지만 DIP금융은 법원 승인을 통해 금융기관의 우선변제권을 보장함으로써 기존 채권자보다 앞선 지위를 갖게 한다.
이를 통해 자금 공급 유인을 높인다.
미국 항공사 델타항공, 유나이티드항공, 노스웨스트항공 등이 과거 DIP금융을 통해 유동성 위기를 넘기고 회생에 성공한 바 있다.
자금은 기업의 위기 속 투자 기회를 노리는 사모펀트(PEF) 등 재무적 투자자(FI)가 주로 제공한다.
물론 회생에 실패해 청산으로 전환할 경우 DIP금융을 제공한 금융기관이 손실을 입을 위험도 크다.
이 때문에 고위험/고수익 투자로 분류된다.
한국에서는 구조조정 특화 PEF큐리어스파트너스가 최근 홈플러스에 600억 규모 DIP금융을 제공하기로 결정해 이목을 끌었다.
✅ DIP 금융의 핵심 개념
구 분 | 내 용 |
정의 | 법정 회생절차(또는 미국식 파산법 11조) 중인 기업이, 기존 경영진이 회사를 계속 운영하면서 받는 운영자금 또는 구조조정 자금 대출 |
DIP 의미 | "Debtor-in-Possession": 채무자이지만 점유자로서 경영을 계속하는 기업 |
법적 배경 | 법원의 회생 보호 아래 있어, 채권자들이 함부로 압류하거나 회수하지 못함 |
자금 용도 | 급여, 재료비, 유통비 등 운영 유지 목적 (회생 성공 시 회수 가능성 높음) |
20주차 경제 용어 풀이에서 다시 뵙겠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 4년 임차 후 엉망이 되어버린 아파트 (6) | 2023.12.06 |
---|---|
부동산 입지분석 네가지 핵심 가치 (0) | 2018.12.02 |
오르는 부동산 법칙 조현철 매일경제신문사 (0) | 2018.11.30 |
다세대, 다가구, 다중주택 나누는 기준 (0) | 2018.11.27 |
유용한 부동산 앱 베스트 5 (0) | 2018.11.25 |